본문 바로가기
실생활에 유용한 깨알정보

PER, PBR, ROE– 숫자 몰라도 감으로 읽는 투자 지표 기초편

by 만능 해결사 2025. 7. 7.
반응형

PER, PBR, ROE

– 숫자 몰라도 감으로 읽는 투자 지표 기초편

안녕하세요 :)
“PER이 낮으면 좋은 거라고 하던데 정확히 뭔가요?”
“ROE는 높을수록 좋은 건가요?”
👉 오늘은 주식 투자할 때 필수로 알아야 할 3가지 지표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
 


✅ PER (주가수익비율)

“이 주식, 수익 대비 비싼가?” 판단하는 지표

📌 공식:
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
예시해석
PER 10 이 회사의 이익 기준으로 보면 10년 벌어야 주가 회수
PER 50 50년 걸림 (매우 고평가 상태)

낮을수록 저평가, 높을수록 고평가
✔️ 하지만 미래 성장 기대가 크면 높을 수도 있음

📍 산업별 평균 PER 참고해서 비교해야 정확함!


✅ PBR (주가순자산비율)

“이 회사의 자산가치 대비 주가는 적절한가?”

📌 공식:
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(BPS)

해석
PBR 1.0 = 장부가치와 주가가 동일
PBR 0.5 = 반값에 거래 중 (저평가 가능성)
PBR 2.0 = 자산 대비 2배 가격 (고평가 가능성)

1 이하일수록 저평가 가능성
✔️ 하지만 실적이 안 좋을 경우 ‘가치 함정’일 수 있으니 주의!


✅ ROE (자기자본이익률)

“자본을 얼마나 잘 굴려서 수익 냈나?”
기업의 경영 효율성 지표

📌 공식:
ROE = 순이익 ÷ 자기자본 × 100

예시해석
ROE 5% 100억 자본으로 5억 수익
ROE 20% 100억 자본으로 20억 수익 → 우수 기업!

높을수록 자본을 잘 굴리는 기업
✔️ 일반적으로 10% 이상이면 효율적


✅ 실전 예시로 보기

기업PERPBRROE해석
A사 8 0.7 12% 저평가 + 효율적인 기업
B사 25 3.5 30% 고성장 기대 반영 (성장주)
C사 5 0.4 3% 싼 이유 있음 (주의 필요)

📌 숫자 하나만 보지 말고, 세 가지를 함께 해석해야 정확해요!


✅ 초보 투자자를 위한 팁

  • PER은 성장성보다 안정성이 중요할 때 확인
  • PBR은 청산가치 기준으로, 자산 많은 기업에 유리
  • ROE는 경영진 실력, 수익 창출력 확인용

✔️ 3개 지표 모두 안정적이면 장기 투자 적합


✅ 어디서 확인하나요?

  • 네이버 금융 > 종목 > 기업분석 탭
  • HTS/MTS 앱 (키움, 미래에셋 등)
  • 증권사 리서치센터 리포트
  • 퀀트 투자 앱 (핀트, 시그널, 두물머리 등)

🔚 마무리하며

이 세 가지 지표는
📊 주식을 “감”이 아닌 “데이터”로 판단하게 해줍니다.

🎯 숫자 자체보다, 이 숫자가 어떤 의미인지 해석하는 능력이 중요해요!


📌 다음 글 예고
👉 “경제지표 쉽게 보기 – 금리, 환율, 물가가 내 투자에 미치는 영향”
주제로, 경제뉴스에 나오는 용어들이
내 투자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려드릴게요!

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🙌

반응형